1일전 수정된 모든파일 찾기(특정확장자만)
find . -mtime -1 \( -name "*.jsp" -o -name "*.java" -o -name "*.class" -o -name "*.js" -o -name "*.css" -o -name "*.htm" -o -name "*.html" -o -name "*.xml" -o -name "*.htc" -o -name "*.rpx" \) -l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정리전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find ~ -name "*.c" -print : 유저 홈디렉토리에서 모든 .c 파일을 나열한다.
2. find . -name "*.txt" -print > imsi :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.txt파일을 imsi 파일에 저장한다.
3. find / -name "*.txt" -print -exec cat {} \; | more : /하위에 있는 모든 .txt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한다.
4. set : 현재 SHELL의 모든 local 변수를 출력한다.
5. set k=`pwd` : k를 pwd로 대체한다. 즉, k변수는 pwd 명령어를 의미한다.
6. who | cut -c1-4 : who 명령어 수행후 1-4자리까지 잘라내어 나열한다.
7. file * | grep ascii : 모든 파일에 대해서 ascii type 파일을 나열한다.
8. ls; pwd > out : ls명령은 화면 출력하고, 현재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는 out 파일에 저장한다.
9. (pwd; file *;) > out : 현재디렉토리와 모든 파일 type정보를 out 파일에 저장한다.
10. who | echo "hello" : who 명령어 수행 결과가 echo "hello"의 입력이 되나 후순위 처리에서 입력을 필요하지 않으므로 화면에 hello만 출력한다.
11. ls > aaa; ls -laF >> aaa; : ls 결과를 aaa저장하고, ls -laF에 대한 결과를 aaa파일에 추가한다.
12. find / -name "*.c" -print -depth& : / 하위 모든 파일중 .c파일에 대해서 백그라운드로 출력한다.
13. cat > aaa < bbb : bbb의 내용을 출력하여 aaa 파일로 저장한다.
14. cat >> aaa < ccc : ccc의 내용을 출력하여 aaa 파일에 추가한다.
15. find . -name "*.o" -exec rm -i {} \; | more : 현재 디렉토리에서의 모든 .o 파일에 대해서 삭제를 수행하며, 결과에 대해서 페이지단위로 나열한다.
16. ls -al | grep "^d" : ls -al 수행후 디렉토리에 대해서만 출력한다.
17. find / -mtime 7 -print > aaa : / 의 모든 파일중 7일전 파일 리스트를 aaa파일에 저장한다.
18. find . \( -name "*.c" -o -name "*.o" \) -print : 현재 디렉토리에서 모든 .c나 .o파일을 나열한다.
19. grep print *.c | more : 모든 .c파일에서 print 단어가 포함된 줄을 페이지 단위로 나열한다.
20. sort sortfile > imsi : sortfile에 대한 정렬을 수행, 결과는 imsi 파일에 저장된다.
'전산Tip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gacy System (0) | 2008.08.18 |
---|---|
포트 목록 (12) | 2008.08.07 |
Web상에서 터미널서비스 사용 (0) | 2008.08.07 |